ADsP 3과목 요점 정리_3과목 2장 통계분석_01 통계의 이해_추정과 가설검정
3. 추정과 가설검정
(1) 추정
1) 모수의 추정 : 모집단의 확률분포 및 특성을 알려주는 모평균과 모분산과 같은 값들인 모수라고 한다.
2) 점추정 : 모집단의 모수, 특히 모평균을 추정할 때 모평균을 하나의 특정한 값이라고 예측하는 것이다.
3) 구간추정 : 구간추정은 모수가 특정한 구간 안에 존재할 것이라 예상하는 것이다.
(2) 가설검정
1) 가설검정의 개념 : 모집단의 특성에 대한 주장 또는 가설을 세우고 표본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해 가설이 옳은지를 판정하는 과정이다.
2) 귀무가설(null hypothesis) : 모집단이 어떠한 특징을 지닐 것으로 여겨지는 가설
3) 대립가설(alternative hypothesis) : 귀무가설에 반대되는 가설로 귀무가설이 틀렸다고 판단될 경우 채택되는 가설
4) 제 1종 오류와 제 2종 오류
- 제 1종 오류 : 귀무가설이 사실인데 귀무가설이 틀렸다고 결정하는 오류
- 제 2종 오류 : 귀무가설이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이 옳다고 결정하는 오류
5) 검정통계량(test statistic) : 귀무가설의 채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표본조사를 실시 하였을 때 특정 수식에 의하여 표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값
6) 기각역 :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될 검정통계량의 영역
7) 유의수준(significance level,a) : 귀무가설이 참인데도 이를 잘못 기각하는 오류를 범할 확률의 최대 허용 한계
8) 유의확률(significance probability) : 유의 확률 또는 p - value는 귀무가설을 지지하는 정도를 나타낸 확률이다.
(3) 비모수 검정
1) 모수검정 vs 비모수검정
- 모수검정 : 표본이 정규성을 갖는다는 모수적 특성을 이용하는 통계 방법
- 비모수검정 : 정규성 검정에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고 증명되거나 표본 군집당 10명 미만의 소규모 실험에서와 같이 정규분포임을 가정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.
2) 모수검정과 비모수 검정 차이 : (책 표 그림 확인)
'AI 관련 > ADsP, AD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DsP 3과목 요점 정리_3과목 2장 통계분석_03 회귀분석 (0) | 2022.03.19 |
---|---|
ADsP 3과목 요점 정리_3과목 2장 통계분석_02 기초통계 (0) | 2022.03.17 |
ADsP 3과목 요점 정리_3과목 2장 통계분석_01 통계의 이해_확률과 확률분포 (0) | 2022.03.13 |
ADsP 3과목 요점 정리_3과목 2장 통계분석_01 통계의 이해 (0) | 2022.03.12 |
ADsP 3과목 요점 정리_3과목 1장 R기초와 데이터 마트 (0) | 2022.03.11 |
댓글